은퇴를 앞둔 친구에게

 

친구들 중에 나이가 빨라서 벌써 은퇴를 한 친구가 있고
 몇 달 남은 친구도 있고 1년 정도 남은 친구들도 있다. 

 은퇴를 앞둔 입장에서 은퇴는 
영광스러운 새로운 출발이 아니라 
그냥 실업자 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노후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놀고 먹으면서 생을 마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직장 생활을 한다면 실업의 위기는 항상 있는 것이고 몇번 경험한 사람도 많을 것이다.
 직업이 직장이 안 맞아서 일 것이다.

 부부도 살다 도저히 안 맞아 이혼하는 것처럼 직장과 내가 안 맞으면 사표를 던지는데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은퇴는 이혼을 당한 것이고 직장에서 짤린 것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노력했지만 버틸 수 없었던 것이다

은퇴도 강제로 직장에서 쫓겨나는 것이다. 
그래서 은퇴 후 직업을 구하기 위해 
노인들이 애를 써보지만 
쉬운 것은 하나도 없다는걸 다시 깨달을 뿐이다. 

은퇴는 예약된 실업자인 것이다.
아버지의 직장 은퇴를 지켜보아야 했다. 대기업에 다니셨기 때문에 정년까지 갈 수도 없었다. 중도에 자진 사표를 던지게 교묘한 수법으로 낙오자를 만들고 좌천 시켰다. 결국 몇 년을 못 견디고 사표를 던졌다. 

그래서 항상 아들인 나에게 직장을 구하지 말고 장사를 하라고 입버릇 처럼 말씀하셨다. 그럼 대학을 보내지 말았어야지 하는 생각을 요즘도 한다. 

직장은 성공하는 길이 아니라고 인생을 살아보니 알았다는 것 같았다.  돈을 많이 버는 게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제일이라고 말씀 하셨다. 

돈을 많이 벌려면 정년이 없는 자기 사업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사업의 성공률은 3년 유지가 3%도 안된다는 게 문제라는 걸 생각 안 하신 것 같았다. 

결국 난 그런 과정을 거쳐서 직장 생활을 늦게 시작했다. 그리고 만만치 않은 직장 생활에서 내 적성에 맞는 비영리단체에서 적은 임금을 받고 일해왔다. 그리고 은퇴를 앞두고 있다. 

대학을 졸업한 아들에게 내가 던지는 말은 직장은 많아 내가 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라고 말해준다. 왜냐 넌 젊으니까 실패해도 괜찮아 다시 시작하며 된다 라고 말해준다. 

그 말에는 나이든 아빠는 갈 곳이 없구나 하는 소리를 들릴지 모르겠다.  

인생은 그렇게 저물어 간다. 

요즘 [폭싹 속았수다] 넷플릭스 드라마가 인기다.
 제주도를 배경으로 살아가는 인생 이야기인데 좋을 때도 있지만 삶이 넉넉하지 못한 집의 이야기를 애처롭다.  살다보니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서 위기를 극복하고  자식 때문에 마음 아파하고 여자의 인생을 잘 그린 드라마다. 

옆에서 이 드라마를 보면서 아내는 자꾸 운다. 남자인 나는 눈물이 안 난다. 나도 드라마보고 잘 우는 편인데 말이다.  왜냐면 남자는 힘든 게 당연하게 생각해서 인 것 같다. 





직장 상사 장모상 가야하나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경조사 참석은 사회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때로는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참석 여부와 부의금(축의금) 액수에 대한 고민은 많은 사람들이 겪는 딜레마입니다.

경조사 참석, 부담과 현실 사이의 균형

참석 여부 : 불참이 부담스럽다면 참석하고, 그렇지 않다면 불참해도 괜찮습니다. 모든 경조사에 참석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참석은 인간관계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불참이 큰 손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부의금(축의금) 부담 :  모든 경조사에 참석하고 부의금(축의금)을 내는 것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상황에 맞춰 적절한 선에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간관계의 본질은 주고받는 액수보다 서로의 마음을 주고 받는것에 있습니다.

인간관계의 본질 :  경조사 참석 여부나 부의금(축의금) 액수가 인간관계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으로 위로하고 축하하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경조사 참석은 인간관계의 비용으로 생각하는 것이 속 편할 수 있습니다.

연령별 특징 :  젊은 시절에는 결혼식이 많고, 나이가 들수록 장례식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조사를 통해 함께 참석하는 사람들과의 친분도 덤으로 생기기도 합니다.


경조사 참석은 개인의 상황과 인간관계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부담을 느끼기보다는 진심으로 축하하고 위로하는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못된 직원

사람은 참 못된 동물이다. 착한 사람은 하나도 없다. 그런데 자꾸 기대하고 착각을 한다. 
 착한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 세뇌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기적인 나쁜놈만 있다고 생각하면 못 살것 같기 때문이다.

지옥같은 세상에 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오직 정글의 법칙만 있다면 그게 대자연의 법칙이라해도 그런 세상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착한세상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나쁜놈들이 너무 많은 것 아냐하고 한탄을 하게 된다. 이간질에 남 헌담질 아주 악마가 따로없다. 비아냥 거리질 않나 책임 회피를 하질 않나 비열한 짓은 기본이고 거짓말도 잘한다. 이렇게 판단하는 나도 누군가에게는 못된 놈일게 분명하다.

하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린 감동적인 사람들을 만난다. 바로 의인이다 자기 목숨을 잃으면서까지 남을 돕는 사람부터 어제 뉴스 처럼 잃어버린 수술비를 찾아주기 위해 하루종일 쓰레기를 파혜져서 결국 상당히 많은 돈을 찾아준 댓가없이 호의를 베푸는 사람들에게서다.

희망은 이런사람들 때문에 생기는 것이고 삶을 다시 설 용기를 얻기도 한다.

그래 아주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지 하면서 말이다.
로또담첨 처럼 만나지 못할지라도 희망은 우리를 살게 한다. 아주 실낱같은 희망이라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