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as a department head: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records of struggles;

Living as a department head: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records of struggles;

I deeply sympathize with your story of working as a department head and seeing all kinds of things. The ideal of a horizontal structure, the numerous gaps encountered in reality, and the anguish and anguish experienced in the meantime, can be felt intact. As the saying goes, "I can see that it is still because it is still." It can be seen that the years of silence have created the position of department head, but the weight is never light.

The youngest members of the new generation look distinctly different from before. They struggle with the natural process of running errands and acquiring work, and sometimes they protest, saying, "Why are you ordering when you are the same employee?" This is enough to cause anger beyond embarrassment for managers who are accustomed to vertical order.

But behind their complaints may lie unfamiliar work, a flurry of responsibility, and an unappreciated frustration. Especially for older youngest members, it is difficult to show as fast learning skills as the younger generation, so you can have a harder time.

In this situation, the role of the department head becomes more important. Beyond simply dressing up and directing tasks, delicate coordination is required considering the capabilities and circumstances of each employee. When the youngest stubbornly refuses to work, the way he passes it on to the senior in a hurry becomes another seed of conflict. Senior employees have no choice but to complain, saying, "That avoids work," and the department head may feel responsible.

The department head also suffers from this dilemma. Because of the urgent need to handle the work right now, we rely on a competent senior, but this can eventually prevent the youngest from growing and lead to a decline in the capacity of the entire organization. We need a firm message that "our company does not need anyone who avoids work," but before that, it will be the true role of the department head to identify why the youngest is struggling with the work and what is lacking and lead them to grow.

Of course, not all the youngest members avoid without the will to learn. Sometimes you may be tired of overwork and complain of difficulties. Therefore, the department head should objectively assess the workload and provide the necessary support before dismissing the difficulties of the youngest as simply personal complaints.

The biggest problem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people who are good at flattering are promoted rather than being able to. This is a great disappointment for employees who diligently work on their work, and it results in their leaving the company. For the long-term growth of a company, a personnel system that selects and grows talented people with practical skills, rather than apparent intimacy or flattery, is essential.

In conclusion, the head of the department should understand the trend of the times of horizontal structure, but establish basic order and responsibility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While we cannot impose unconditional obedience on the youngest, we must clear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ork and the need for cooperation,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and opportunities for growth.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fair work division and evaluation through objective judgment without being buried in individual emotional appeals.

The key point is that rather than the cynical view of "not rewriting people," the department head should focus all his capabilities on creating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team member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can respect, cooperate, and create synergy. Sometimes patiently waiting, sometimes resolutely presenting principles, and sometimes warm encouragement and advice-saving leadership will be the answer to finding a balance between ideal horizontal organization and realistic work efficiency. The department head's shoulders are heavy, but we must not forget that leadership is an important key to the future of the organization.

To a friend who is about to retire.

 


To a friend who is about to retire.
Some of my friends are already retired because they are too old.
Some friends have months left and some have about a year left.

Retirement is about to take place.
It's not a glorious new start.
I feel like I'm just being unemployed.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ready for old age, so they cannot end their lives by playing and eating.


If you work, there is always a crisis of unemployment, and many people will have experienced it a few times.
I think it's because my job is not right.

Just as a couple doesn't get along and get divorced in their lives, it's natural to resign if the job and I don't get along. However, retirement was divorced and fired from work. He tried regardless of his will, but he could not hold out.

Retirement is also forced out of work.
So to get a job after retirement.
The elderly try,
I only realize again that nothing is easy.

Retirement is the jobless.
I had to watch my father retire from his job. I couldn't even go to retirement age because I worked for a large company. He made and demoted the losers with clever techniques to voluntarily resign in the middle. Eventually, he resigned after years of endurance.

So he always told me, my son, not to find a job, but to do business. Then I still think that I shouldn't have sent him to college these days.

I felt like I knew in my life that a job is not the way to succeed. He said that making a lot of money is the best in capitalist society.

They argue that in order to make a lot of money, they have to do their own business without retirement age. However, it seemed that the problem was that the success rate of the project was less than 3% for three years.

Eventually, I started my career late through that process. And in a formidable work life, I have worked for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suits my aptitude for a small wage. And I am about to retire.

To my son who graduated from college, I tell him that there are many jobs, so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whether I can do it or not. Because you are young, it's okay to fail. You can start over.

I don't know if you'll hear that your older dad has nowhere to go.

That's how life ends.

Netflix dramas are popular these days.
It is a life story set in Jeju Island, and sometimes it is good, but it is pathetic to tell the story of a house where life is not enough. It is a drama that overcomes the crisis with the help of many people, hurts because of children, and depicts a woman's life well.

Watching this drama next to her, my wife keeps crying. As a man, I can't cry. I tend to cry well after watching dramas. Because I think it's because men take it for granted that it's hard.



못된 직원

사람은 참 못된 동물이다. 착한 사람은 하나도 없다. 그런데 자꾸 기대하고 착각을 한다. 
 착한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 세뇌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기적인 나쁜놈만 있다고 생각하면 못 살것 같기 때문이다.

지옥같은 세상에 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오직 정글의 법칙만 있다면 그게 대자연의 법칙이라해도 그런 세상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착한세상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나쁜놈들이 너무 많은 것 아냐하고 한탄을 하게 된다. 이간질에 남 헌담질 아주 악마가 따로없다. 비아냥 거리질 않나 책임 회피를 하질 않나 비열한 짓은 기본이고 거짓말도 잘한다. 이렇게 판단하는 나도 누군가에게는 못된 놈일게 분명하다.

하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린 감동적인 사람들을 만난다. 바로 의인이다 자기 목숨을 잃으면서까지 남을 돕는 사람부터 어제 뉴스 처럼 잃어버린 수술비를 찾아주기 위해 하루종일 쓰레기를 파혜져서 결국 상당히 많은 돈을 찾아준 댓가없이 호의를 베푸는 사람들에게서다.

희망은 이런사람들 때문에 생기는 것이고 삶을 다시 설 용기를 얻기도 한다.

그래 아주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지 하면서 말이다.
로또담첨 처럼 만나지 못할지라도 희망은 우리를 살게 한다. 아주 실낱같은 희망이라도 말이다.

당연한 도움, 배려에 감사 해야 하는 이유

감사의 중요성을 깨닫는 것은 우리의 삶에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일상 속에서 가족이나 친구,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함을 느낄 때, 그 감정은 단순히 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배려하고 도움이 되는 관계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어딜 가나 뻔뻔하고 이기적인 사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작은 배려와 도움,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을 점검하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출근을 준비할 때 와이셔츠와 바지가 잘 정리되어 있고, 샤워 후에 속옷이 준비되어 있는 것처럼 아내가 미리 준비해 둔 배려를 느낍니다.

 저녁에 집에 돌아왔을 때 아내가 저녁 식사를 준비해 놓는 것도 하루 종일 스트레스를 받고 일한 남편을 위한 배려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사함을 느끼지 못하고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고마움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처음에는 작은 대접에도 고마움을 느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당연한 권리로 생각하게 되어 교만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마운 일이 당연하게 여겨진다면 반성하고, 변화된 상황에 대해 호통을 치거나 짜증을 내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오늘부터 우리 삶에 당연한 것은 없다고 생각합시다. 


 아내이기 때문에, 자녀이기 때문에, 친구이기 때문에 당연히 해야 한다는 공식은 없습니다. 내가 직접 하지 않은 모든 일은 고마운 일들이고 감사할 일들입니다. 

감사하는 삶이 왜 행복한가 하면, 항상 배려와 사랑에 빚을 진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결국 감사하는 마음은 작은 배려와 도움에서 시작됩니다.

 우리 삶에 당연한 것은 없으며, 그 모든 순간이 고마운 일임을 깨닫는 순간, 더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도 작은 일상 속에서 감사함을 느끼고 표현해 보세요.

 그것이 우리의 삶을 더 아름답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직장 내 권력 역학과 인간관계의 미묘한 풍경

직장 내 권력 역학과 인간관계의 미묘한 풍경

직장이라는 무대 위에서 우리는 수많은 인간관계의 변주곡을 마주하게 됩니다. 때로는 화려한 협연으로, 때로는 불협화음으로 우리의 일상을 채우는 이 관계들은 조직의 생태계를 형성하고 개인의 성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교만과 카르텔: 조직 문화의 암세포

40대 직원의 교만함은 마치 잘 익은 사과에서 퍼져나가는 곰팡이와 같습니다. 초기의 미미한 변색은 어느새 전체를 잠식하는 위협으로 변모합니다. 특히, 가스라이팅이라는 교묘한 방식으로 동료를 포섭하여 형성된 카르텔은 조직의 건강한 성장을 가로막는 암세포와 같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상급자에게 보고하여 조직 차원의 대응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인 감정적 대응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냉철한 판단과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됩니다.

2. 영양사와 조리사: 권위와 존중의 줄다리기

영양사와 조리사의 갈등은 직장 내 권위와 존중의 미묘한 줄다리기를 보여줍니다. 나이와 직급이라는 요소가 복잡하게 얽힌 이 상황에서, 영양사는 감정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상대방의 도발에 일일이 반응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의 권위를 실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무시가 최선의 대응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주변 동료들과의 연대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직장 생활의 고독과 성찰: 내면의 성장

직장 생활은 때로는 고독한 여정과 같습니다. 상사의 자리는 외로움과 책임감이 공존하는 자리이며, 부하 직원의 다양한 반응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을 수는 없으며, 때로는 오해와 비난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내면의 힘을 기르고 성숙한 태도를 함양해야 합니다. 또한, 일의 결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며,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세련된 직장 생활을 위한 제언

  • 객관적인 시각 유지: 감정적인 판단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자료와 사실에 근거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합니다.
  • 전략적인 소통: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줄이고,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소통을 도모합니다.
  • 자기 관리: 스트레스 관리, 감정 조절, 자기 계발 등을 통해 건강한 직장 생활을 유지합니다.
  • 공감과 존중: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통해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합니다.
  • 전문성 강화: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여 조직에 기여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도모합니다.

직장 생활은 끊임없는 배움과 성장의 과정입니다. 때로는 예상치 못한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하지만, 지혜로운 대처와 긍정적인 태도를 통해 우리는 더욱 성숙한 직장인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